20년 전, 스님들의 해우소를 이용한 불가리스 광고를 기억하시나요? 과거 불가리스와 바이오거트로 대표되던 유산균은 이제 포스트 바이오틱스, 신바이오틱스 등의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프로바이오틱스와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차이를 알고 계신가요? 비슷하기도 하지만 완전히 다른 이들의 개념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 장 내 유익한 미생물 그 자체
우리가 섭취해 온 모든 유산균 유래 음료들은 프로바이오틱스입니다. 프로바이오틱스란, 장 내에서 유익한 기능을 하는 모든 살아있는 미생물로 정의되며, 이들 중 하나가 유산균입니다. 정확히는 유산균 중 일부 종만 프로바이오틱스이며, 유산균 중에도 병원성 미생물이 다수 속해있습니다.
과거에는 프로바이오틱스가 단순한 장내 건강만을 증진시킨다고 알려져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장내 미생물의 밸런스가 항암작용 및 면역작용 개선의 효과를 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으므로, 화장실을 잘 가기 위해서가 아닌 내 건강을 위해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는 경향으로 변화되었습니다.
프리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의 먹이
프로바이오틱스의 활성은 이들의 먹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어떠한 먹이를 주느냐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이 먹이를 프리바이오틱스라고 합니다. 프로바이오틱스 중 유익한 유산균을 사용한다고 하였을 때, 유당이 충분한 우유가 일종의 프리바이오틱스가 됩니다.
포스트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의 대사산물
포스트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스의 대사산물로 정의됩니다. 살아있는 미생물 자체를 쓰는 데에 부담감이 있으니 대사산물만 사용하자는 거죠. 또한 섭취된 프로바이오틱스가 pH가 낮은 위를 통과하여 장에서 증식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포스트 바이오틱스의 시작은 마케팅적인 요소가 강했으나, 현재는 사체를 의미하는 파라 프로바이오틱스 (파라 바이오틱스)를 포괄하게 되었고 프로바이오틱스가 생성한 모든 것들 (대사산물, 프로바이오틱스의 죽은 시체, 효소 등)을 모두 포함하는 단어가 되었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 중 유익한 유산균을 사용한다고 하였을 때, 유산균이 우유를 발효하여 생성한 요거트에서 살아있는 유산균을 뺀 모든 성분을 포스트 바이오틱스라고 지칭할 수 있겠습니다.
'과학 > 식품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 C 고르는 방법, 함량이 높다고 좋은 게 아니다 (0) | 2023.07.26 |
---|---|
프로바이오틱스의 불편한 진실 (0) | 2022.05.26 |
비빔면에 채소를 넣으면 당뇨 예방? 다이어트? (0) | 2022.04.13 |
유산균 제제 와 바실러스 프로바이오틱스 (0) | 2021.07.16 |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응용 - 요구르트, 요거트 (0) | 2021.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