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이슈 모아보기14 아이폰 통화녹음을 가능하게 해주는 에이닷, SKT만 가능해요 2009년 애플의 아이폰 3gs를 시작으로 한 국내 아이폰 출시부터, 현재 아이폰 15 시리즈가 발매될 때까지 아이폰이 가진 가장 큰 문제점은 통화녹음이 안된다는 것이었습니다. 업무 상의 이유, 계약 상의 이유, 그리고 본인의 말을 까먹지 않게 하기 위해 (ㅋㅋ) 통화녹음은 필요한 순간이 많은데요, 아무래도 미국은 개인정보보호에 대해 진심이다 보니, 통화녹음에 대해 조금 더 보수적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삼성 갤럭시로 대표되는 안드로이드 진영은 시작부터 통화녹음이 가능했습니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통화녹음 때문에 갤럭시 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였죠. 현재는 여기서 더 발전해서 통화녹음과 삼성페이때문에 갤럭시 쓴다라고도 합니다. 아쉽게도 애플 아이폰은 통화녹음, 애플페이 둘 다 시원찮았죠. 그런데 2023년 .. 2023. 10. 24. 아이 눈꼽감기 아데노바이러스 증상 감염경로 예방법 코로나바이러스가 풍토병화 된 지 얼마나 됐다고, 아데노바이러스라는 이름의 질병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갑자기 기침을 하거나 하면 괜히 코로나바이러스 아닌가 하는 걱정을 하게 되죠, 하지만 이 아이들이 눈까지 비빈다면 이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아니라 아데노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6세 이해 영유아에게는 유행성 결막염을 동반한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사실 아데노바이러스는 단순히 바이러스 종류 중 하나입니다. 우리가 쉽게 코로나바이러스라고 부르는 COVID19도 코로나바이러스 중 하나 일 뿐입니다. 대부분 인간 중에는 소아에게 질병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는 바이러스로, 호흡기 감염 이외에도 Oral-fecal route (분변오염의 지표)로도 감염이 가능합니다.. 2023. 8. 28. 코로나19 백신 관련 음모론에 대한 반박_스파이크 단백질의 암 유발 우리나라는 코로나19 관련 백신 접종률이 80%를 넘었습니다. 지난 글에서 백신의 감염예방 효과는 낮고, 개인의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씀드리며 앞으로의 추세를 예상했는데, 비슷한 그림으로 가고 있습니다. 백신의 1차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람들은 백신에 대한 불신을 갖기 시작했죠. 예방 효과에 대한 불신을 갖는 것은 좋으나, 말도 안 되는 음모론을 토대로 불신을 갖지 않으셨으면 하여 주요 음모론을 소개해 드리며 간단히 반박하겠습니다. 백신으로부터 유래된 스파이크 단백질이 면역체계를 악화시켜 암을 유발한다? 이 내용은 Great Game India라는 SNS 채널 토대 집단으로부터 제기된 주장입니다. Great game india 우선 스웨덴 연구의 근거는 아래 링크의 Article입니다. htt.. 2022. 1. 17. 얀센 모더나 부스터샷, 근거가 부족하다 질병관리청은 11월부터 얀센 접종자에 대해 부스터 샷을 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부스터 샷을 동일한 백신이 아닌 mRNA 타입의 백신인 모더나, 화이자와의 교차접종을 통해 진행한다고 하는데요, 얀센 접종 완료자가 모더나 교차접종을 할 경우 76배, 화이자 교차접종은 35배, 얀센 부스터 샷은 4배라고 합니다. 이 데이터에 대한 모집단의 크기는 450명 부근으로 알려져 있고, 미국 국립보건원 (NIH)의 연구자료라고 국내 언론들은 설명합니다. 얀센-모더나 부스터 샷의 과학적 근거는 적절한가? 같은 데이터에 대한 해외 언론들을 찾아보면 "this study has not peer-reviewed"라는 문구가 많이 보입니다. Peer-review를 그대로 해석하면 동료평가겠지만, 학술논문의 제출 및 승인 .. 2021. 10. 29.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