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일상

코로나 확진자 완치자 화이자 백신 1차 접종기

by TMI UNIVERSE 2021. 10. 16.
반응형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이 63%를 넘어섰습니다. 1차 접종의 경우 78.5%를 넘어섰다고 하네요. 현재의 코로나 백신은 감염 예방의 능력은 떨어지지만 중증 완화 효과가 매우 뛰어납니다. 심지어 이 효과는 부스터 샷을 접종하지 않더라도 약 1년의 장기간 유지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집단면역이 아닌 중증으로 인한 의료 충격 방지 효과는 뛰어난 것으로 알 수 있겠죠.

 저는 올해 2021년 7월 31일에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8월 9일에 생활치료센터 퇴소를 통한 완치 판정, 그리고 8월 21일 PCR 검사 최종 음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10월 14일 화이자 1차 접종을 진행하였습니다. 코로나 확진 이후 완치자로서 백신 접종의 필요 여부에 의문이 있지만, 내년 결혼 준비 등으로 인한 자유로운 활동이 필요하기에 무의미한 백신이지만 접종을 진행했습니다. 기존 예약되어있던 백신은 모더나였지만, 접종 당일 화이자로 변경하였습니다.

 

코로나 완치자 백신 접종 증상

 코로나 확진 후 완치자의 백신 접종 증상은 보통 일반인의 2차 접종과 유사한 반응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이는 일반인의 1차 접종과 확진자의 확진을 동일한 선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폭발적인 면역반응이 일어날 확률이 높았으나.... 다행히 저는 괜찮았습니다. 접종 후 현재까지 발생한 증상을 시간대별로 나눠 정리했습니다.

 

10/14 15:00 (백신 접종) 체온 36.8℃,  화이자-바이오엔텍 코미나티주 접종

10/14 16:00 (접종 1시간 후) 체온 36.5℃, 접종부위 경미한 통증 외 이상 없음

10/14 17:00 (접종 2시간 후) 체온 36.4℃, 접종부위 경미한 통증 외 이상 없음

10/14 18:00 (접종 3시간 후) 체온 36.3℃, 접종부위 경미한 통증, 무기력증 발생

10/14 21:00 (접종 6시간 후) 체온 36.2℃, 접종부위 경미한 통증, 무기력증 발생, 경미한 오한

10/15 09:00 (접종 18시간 후) 체온 36.4℃, 접종부위 통증 심화, 접종한 팔 홍반 발생 (1개)

10/15 12:00 (접종 21시간 후) 체온 36.1℃, 접종부위 통증 더욱 심화 및 심한 무기력증이 들어 낮잠

10/15 15:00 (접종 24시간 후) 체온 36.3℃, 접종부위 통증과 더불어 겨드랑이 통증 시작 (임파선염 의심)

10/15 21:00 (접종 30시간 후) 체온 36.2℃, 접종부위 통증 약화, 겨드랑이 통증 심화

10/16 09:00 (접종 42시간 후) 체온 36.1℃, 접종부위 통증 약화, 겨드랑이 통증 약화

10/16 21:00 (접종 54시간 후) 체온 36.5℃, 접종부위 통증 거의 소실, 겨드랑이 통증 계속 진행 중 (현재)

 

 접종 후 즉각적으로 발생하는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알레르기 반응과 과도한 발열반응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다만 겨드랑이가 당기는 증상은 현재까지도 발현된 것으로 보아 임파선 (림프절)에 일부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만, 이는 일시적인 면역반응인 것으로 예측되므로 상황을 지켜보려고 합니다.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등의 해열진통소염제를 구비하고 대기하였으나, 컨디션이 괜찮아 약을 섭취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완치 후 백신 접종하시는 분들께서는 제 경우를 참고만 하시고, 혹시 모를 만반의 대비는 해 두시길 바랍니다.

 

 

코로나19 확진 후 완치자, 예방접종 필요할까

 학문적, 임상적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예방접종은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CDC, 그리고 국내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코로나 확진 이후 항체치료를 한 경우에는 완치 90일 이후에 백신을 접종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을 권고하는 이유는 확진자의 경우 중화항체의 생성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인데요, 현재 백신의 목적이 중화항체의 생성이 아닌 중증 예방이라는 다른 기전에 대한 것이고, 코로나19에 대한 개인의 중증 발생 예방 효과는 코로나 확진 후 완치 시에도 발현되므로 굳이 백신을 맞을 필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한시적으로 적용될 백신 패스와 자가격리 면제 등의 요건이 필요한 경우라면 예방접종을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