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발성뇌출혈2 자발성뇌출혈#3 환자의 몸부림과 섬망증세, 멘탈이 단단해지는 계기 뇌출혈 와상환자가 일반병실로 이동하고, 뇌의 회복기가 되면 보호자로서는 지옥의 시간이 시작됩니다. 이전 글처럼 마비증세로 움직이지 못하실 경우 주기적인 체위변경 및 식사&약 투여 시간 이외에는 일종의 자유? 시간이 주어지는데요, 물론 환자 바로 옆에 붙어있어야 하지만 심적인 자유는 느낄 수 있었죠. 하지만 뇌가 회복되기 시작하고, 각종 불편함이 환자의 뇌로 전달이 되면, 환자의 몸부림이 시작되고 보호자의 자유는 없어집니다... 뇌출혈 환자의 회복기의 특이적 움직임 1. 매우 불편한 콧줄을 빼려고 합니다. 콧줄을 뺄 경우 다시 끼우는 과정에서 식도 및 호흡기 염증을 유발할 수 있고 이 과정이 환자에게 고통스럽기도 합니다 (심지어 콧줄 비급여). 저희 아버지의 경우 콧줄을 자주 빼셔서... 결국 손을 침대난.. 2021. 7. 3. 자발성뇌출혈#1 뇌출혈 발병 시 보호자 참고사항 이십 대 후반이 되고, 친구들과 술 한잔할 때마다 하던 말이 있습니다. '부모님, 언제 어떻게 되실지 모른다. 부모님께 잘 하자.' 그런데 그런 일이 제 부모님께 생길 줄 저는 알았을까요. 석사과정 마지막 학기, 학문을 탐구하는 마지막 시기이자 취업전선에 뛰어들기 위해 가장 바빠야 할 시기에, 부모님의 30주년 결혼기념일 새벽 한 시에, 아버지는 뇌출혈로 생사에 갈림길에 서 계셨습니다. 부모님의 결혼기념일은 법정 공휴일이었고, 저는 늦잠을 잘 생각으로 새벽까지 자소서를 쓰다가 잠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하지만 유난히 일찍 잠에서 깼고, 새벽 동안 생긴 어머니의 부재중 전화 세 통과 문자 한 통을 본 뒤, 안암에서 바로 분당 서울대병원까지 내려갔네요. 삼 년이 지난 지금, 아버지는 글을 쓰고 있는 제 옆에.. 2021. 6. 28.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